Dev study and Repost

PERN - 05 neon 네온 연동 a/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PostgreSQL 본문

Building & Learning/MERN PERN

PERN - 05 neon 네온 연동 a/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PostgreSQL

devlunch4 2025. 8. 28. 14:39
반응형

PERN - 05 neon 네온 연동 a/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PostgreSQL

지난번 서버를 생성하였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려고합니다.

PostgreSQL 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인 네온

https://neon.com/

 

Neon Serverless Postgres — Ship faster

The database you love, on a serverless platform designed to help you build reliable and scalable applications faster.

neon.com

네온 neon 연동을 기록으로 남겨봅니다.

PostgreSQL:

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RDBMS)으로,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SQL 기반 데이터베이스입니다.

Neon:

PostgreSQL을 기반으로 한 서버리스 클라우드 플랫폼으로, 자동 확장, 고가용성, 브랜칭 기능 등을 제공하는 개발자 친화적인 DB 서비스입니다.

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
https://neon.com/

neon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합니다.

새로 시작한다면 바로 프로젝트 생성 화면을 보게 됩니다.

 

프로젝트 생성을 합니다.

AWS, Azure 가 있는데 원하는 것으로 선택 후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

대시보드에서 프로젝트 내 데이터베이스를 연결을 위한 방법을 설정해봅니다.

connect 버튼을 선택합니다.

새로 나타나는 모달창을 보고

connection String 값을 복사합니다(비밀번호 포함 주의!)

.env 파일을 생성하고

DATABASE_URL 키를 생성하고 복사한 값을 대칭시킵니다.

이어서 neon 공식 문서 파일의 안내 내용을 확인하며 진행합니다.

https://neon.com/docs/guides/express

프로젝트 터미널에 neon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

$ npm install @neondatabase/serverless

 

 

안내 소스코드를 참고하여 프로젝트 소스에 추가를 위한 소스작성이 필요합니다.

config 폴더 생성후 이에 db.js에 소스를 작성합니다.

다음 neon 콘솔의 sql 편집기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합니다.

PostgreSQL 을 사용합니다.

이어서 사용자 데이터 연돌을 위해 clerk를 이용합니다.

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익스프레스에 적용가능한 clerk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

https://clerk.com/docs/quickstarts/express

express:

Node.js 기반의 웹 서버/백엔드 프레임워크

서버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로 설치 실행

$npm install @clerk/express

이어서 clerk 대시보드 api 키 설정에서 키정보를 복사하여 .env 파일에 소스 추가합니다.

다음 도큐먼트 안내로 아래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해야하지만 이미 설치했으니 생략

$ npm install dotenv

이어지는 문서 내용을 보고 적용 소스를 추가합니다.

보안을 위한 인증 기능을 위해 인증요구 소스코드를 추가합니다.

이어서 관련 미들웨어. 컨트롤러 설정을 하면되는데 다음 포스팅으로!

 

반응형
Comments